청해 이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해 이씨는 고려 시대 여진족 출신 이지란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이지란은 고려에 귀화하여 이성계 휘하에서 활약하며 조선 개국에 기여하여 청해백에 봉해졌으며, 이후 종묘배향공신이 되었다. 청해는 북청의 별호이다. 청해 이씨는 조선 시대에 문과 8명, 무과 16명, 생원시 8명, 진사시 10명의 급제자를 배출하였으며, 경기도 용인시, 포천시, 남양주시 등지에 집성촌을 이루었다. 영화 감독 이장호, 축구 선수 이청용 등이 청해 이씨 가문 출신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해 이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청해 이씨 |
| 한자 표기 | 青海李氏 |
| 로마자 표기 | Cheonghae Yi ssi |
| 관향 | 함경남도 북청군 청해리 |
| 웹사이트 | 청해이씨 종친회 |
| 역사 | |
| 시조 | 이지란 |
| 창성 시기 | 고려 말기 |
| 인구 통계 | |
| 2000년 | 12,002명 |
| 순위 | 329위 |
| 주요 인물 | |
| 고려 시대 | 이지란 |
| 조선 시대 | 이근 |
| 현대 | 이장호, 이청용 |
2. 역사
청해 이씨의 시조는 고려시대 여진족 출신 이지란이다. 본명은 쿠란투란티무르이며, 아버지 아라부카는 여진의 금패천호였다. 이지란은 아버지의 뒤를 이어 천호가 되었다가 1371년(고려 공민왕 20) 고려에 귀화하여 함경도 북청에 정착했다. 이성계 휘하에서 이씨 성을 하사받고 조선 개국공신 1등, 청해백(청해는 북청의 별호)에 봉해졌다. 조선 태조 이성계보다 4년 먼저 태어났으나 그를 주군으로 섬겼고, 종묘배향공신이 되었다.[5]
이지란의 아들 화영은 세종 초 우군부판사가 되었고, 7세손 인기는 선조 때 중추부동지사가 되었다. 인기의 아들 중로, 중추부첨지사 핵의 아들 유민, 삼도수군통제사를 지낸 수민 등도 유명하다.[5]
2. 1. 시조 이지란
고려 여진족 출신 '''이지란'''(李之蘭, 1331년(고려 충혜왕 1년) ~ 1402년(조선 태종 2년))이 시조이다. 본명은 쿠란투란티무르(古倫豆蘭帖木兒)이다. 이지란의 아버지 아라부카(阿羅不花)는 여진의 금패천호(金牌千戶)였다. 아버지에 이어 천호가 되었다가 원나라 말기 1371년(고려 공민왕 20) 많은 부하를 이끌고 귀화하여 함경도 북청(北靑)에 거주하면서 이성계 휘하에 들어가 이씨 성을 하사받았다. 이어 조선 개국공신 1등에 책록되고 청해백(靑海伯)에 봉해졌는데, 청해는 북청의 별호이다. 조선 태조 이성계(李成桂, 1335년 ~ 1408년)보다 4년 먼저 태어났지만 늘 전장을 함께 하면서 주군으로 모셨다. 뒷날 종묘배향공신이 되었다.2. 2. 가문의 번성
시조는 고려 여진족 출신 '''이지란'''(1331년 (고려 충혜왕 1년) ~ 1402년 (조선 태종 2년))이다. 본명은 쿠란투란티무르(古倫豆蘭帖木兒)이다. 이지란의 아버지 아라부카(阿羅不花)는 여진의 금패천호(金牌千戶)였다. 아버지에 이어 천호가 되었다가 원나라 말기 1371년 (고려 공민왕 20) 많은 부하를 이끌고 귀화하여 함경도 북청(北靑)에 거주하면서 이성계 휘하에 들어가 이씨 성을 하사받았으며, 이어 조선 개국공신 1등에 책록되고 청해백(靑海伯)에 봉해졌다. 청해는 북청의 별호이다. 조선 태조 이성계(1335년 ~ 1408년)보다 4년 먼저 태어났지만 늘 전장을 함께 하면서 주군으로 모셨다. 뒷날 종묘배향공신이 되었다.이지란의 아들 화영(和英)은 세종 초 우군부판사(右軍府判事)가 되었고 7세손 인기(麟奇)는 선조 때 중추부동지사가 되었다. 이외에 인기의 아들 중로(重老), 중추부첨지사 핵의 아들 유민(裕民), 삼도수군통제사를 지낸 수민(壽民) 등이 유명하다.[5]
3. 본관
청해(靑海)는 남옥저 이후 고구려 영토였으며, 698년 발해가 남경남해부(靑海土城)를 설치하였고, 1258년(고려 고종 45)에 쌍성총관부가 설치되었으며, 1392년(공양왕 2)에 북청으로 개칭되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1398년(태조 7) 청주부로 고쳤다가 얼마 후 다시 북청으로 고쳤고, 1427년(세종 9)에는 도호부로 승격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북청군이 되었고, 1896년 함경남도에 속하게 되었다. 현재 함경남도 북청군 청해리 일대이다.
4. 과거 급제자
청해 이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8명, 무과 급제자 16명, 생원시 합격자 8명, 진사시 합격자 10명을 배출하였다.
4. 1. 문과
| 이름 | 한자 |
|---|---|
| 이광도 | 李廣道 |
| 이근 | 李根 |
| 이승헌 | 李承憲 |
| 이우규 | 李羽逵 |
| 이유민 | 李裕民 |
| 이재석 | 李在祏 |
| 이정호 | 李挺豪 |
| 이진석 | 李晉錫 |
4. 2. 무과
4. 3. 생원시
| 이름 | 한자 |
|---|---|
| 이경태 | 李慶泰 |
| 이문준 | 李文俊 |
| 이성규 | 李星逵 |
| 이승은 | 李承恩 |
| 이재혁 | 李在爀 |
| 이주석 | 李柱錫 |
| 이청 | 李淸 |
| 이항 | 李𦐄 |
4. 4. 진사시
이광도(李廣道), 이면술(李冕述), 이성년(李聖年), 이원성(李元性), 이인기(李麟奇), 이정석(李貞錫), 이정호(李梃豪), 이주성(李胄性), 이학년(李鶴年), 이홍규(李鴻逵)5. 집성촌
| 지역 |
|---|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면 |
|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 추동리 |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동, 동빙고동 |
|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용정리 |
| 경기도 오산시 가수동 |
| 강원도 이천군 용포면 월암리 |
|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소송리 |
|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청웅면 옥석리 |
| 평안남도 양덕군 양덕면 인평리[4] |
| 경기도 의정부시 가능동, 자금동 |
| 경기도 고양시 고양군 한지면 빙고리 |
| 경기도 화성시 오산읍 가수리 |
6. 유명 인물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청해이씨 靑海李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논문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19
[4]
웹사이트
이씨(李氏) 본관(本貫) 청해(靑海)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7
[5]
간행물
우리 역사를 바꾼 귀화 성씨
역사의아침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